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076

알고보면 간단한 무지개의 원리와 의미 무지개는 왜 일곱 색깔일까요. 무지개가 나오면 소를 강가에 매지 말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는 편서풍 대에 자리 잡은 우리나라에 오래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말인데, 쪽에 있던 비구름이 다가오면서 비가 내려 강물이 불어날 것을 예측한 조상들의 경험에서 비롯된 일기예보라 할 수 있습니다. 무지개의 원리는 간단합니다. 너무 간단해서 요새는 초등학생도 기본적으로 학교에서 배웁니다. 다만 관심이 없어서 배운 것을 까먹는 것일 뿐입니다. 무지개를 한자로는 홍(虹)이라고 씁니다. 순우리말로는 무지개"(firerainbow)라고 불린다. 우리나라에서는 비 온 뒤 맑게 갠 하늘에 나타내는 무지개의 모습이 마치 하늘에 걸린 활과 같다고 해서 천궁(天弓)이라고 했습니다. 외국에서는 무지개를 레인보우(rainbow)라고 합니다... 2021. 4. 27.
밤하늘에 우리 눈으로 보이는 별의 갯수는 몇개일까? 밤하늘에 보이는 우리 눈에 보이는 별은 몇 개나 될까? 바쁘게 살다 보면 하늘에 별이 얼마나 있는지, 얼마나 반짝이고 있는지 모른 채 지나치곤 합니다. 언제 마지막으로 밤하늘의 별을 헤아려 봤는지 한번 떠올려 보세요. 어렷을적 꿈은 다 어디로 가고 초췌하고 퀭한 눈의 돈 버는 기계로 전락한 자신을 한번 돌아봐 보세요. 넓고 높고 깊은 밤하늘을 보면 마음도 그렇게 되는 듯합니다. 화내고, 짜증내고, 기분 상했던 일들이 봄날 눈 녹듯 잊힙니다. 가끔씩이라도 별을 감상한다면 마음의 여유를 찾을 수 있을 텐데, 뭐가 그리 바쁜지 하늘 한번 쳐다보기가 힘듭니다. 별은 해가 지기 시작하면서 서서히 눈에 보이기 시작합니다. 사실 별은 낮에도 하늘에 그대로 있는데, 태양이 너무 밝아서 우리 눈에 보이지 않을 뿐입니다... 2021. 4. 27.
동물의 젖꼭지 수가 동물마다 다른 이유 동물의 젖꼭지 수는 왜 다를까? 동물원에 가거나 tv나 유튜브에서 동물을 소개하는 프로그램을 시청하다가 동물의 종류에 따라 젖꼭지 수가 다르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혹시 집에서 강아지를 기르고 있다면 강아지의 젖꼭지가 4~5쌍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햄스터는 6~7쌍, 쥐는 4~5쌍, 고양 이와 토끼는 3~4쌍, 소와 사슴은 2쌍의 젖꼭지를 가지고 있습니 다. 원숭이나 코뿔소, 얼룩말, 하마 등은 사람과 마찬가지로 젖꼭 지가 한 쌍입니다. 동물에 따라 젖꼭지 수가 다른 것은 한 번의 출산으로 낳는 새 끼의 수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개나 고양이처럼 한 번에 여러 마리를 낳는 동물들은 한 쌍의 젖꼭지로는 부족합니다. 만약 젖꼭지 가 부족해 수유를 제대로 못하게 되면 어린 새끼는 발육 .. 2021. 4. 27.
주민등록 번호는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기밀문서 유출 주민등록번호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주민등록번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13자리 주민등록번호는 출생신고를 함과 동시에 평생 자신의 신분을 증명하는 고유 숫자 가 됩니다. 그렇다면 13개 숫자의 조합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요? 먼저 앞의 6자리 숫자는 생년월일을 나타내는 숫자입니다. 예를 들어 1976년 3월 7일에 태어났으면 760307이 됩니다. 뒤의 7개 중 첫 번째 숫자는 남녀를 구분하는 숫자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남자는 1, 여자는 2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2000년 이후 출생한 사람들은 남자는 3, 여자는 4로 시작됩니다. 모르는 사 람들도 많을 텐데, 성별을 구분하는 번호는 100년 단위로 교체합니다. 따라서 지금부터 100년 전인 1800년대에 태어난 백살이 넘은.. 2021. 4. 27.
인간의 연령별 정상체온 범위 우리 몸의 체온은 왜 36.5도로 유지될까? 여자는 몸이 따뜻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18~40세의 정상 체온은 평균 36.8 ± 0.4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오늘날 우리가 정상 체온으로 알고 있는 섭씨 37도는 19세기 독일의 뛰어난 임상의(臨床醫) 분더리히(Karl August Wunderlich) 박사가 알아냈습니다. 그는 병상에 있는 환자의 체온 측정에 힘써 서서 처음으로 체온 표를 만들었습니다. 분더리히 박사가 정상 체온을 발견한 이래 섭씨 37도가 정상 체온 수치로 통용되고 있습니다. 체온은 하루 중 아침 6시에 가장 낮고, 오후 4~6시에 가장 높습니다. 아침 6시에 입 안에서 체온을 잴 때 정상인의 최고 수치는 37.2도이고, 오후 4시의 구강 내 체온의 최고 수치는 37.7도 정.. 2021. 4. 27.
386세대 뜻과 특징 왜 386세대라고 할까? 신세대, X세대에 이어 N세대 등으로 세대를 나누는 게 유행처럼 돼었던 시기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우리 사회에서 이제 386세대'를 빼놓고는 이야기를 할 수 없을 것입니다. 바로 현재 한국 사회를 이끌어갔었고 아직도 386세대가 권력을 잡고 있기 때문입니다. 386세대라는 말은 굉장히 많은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그런데 왜 386세대라고 할까요? 386세대라 함은, 아주 오래전에는 연령상으로는 30대이고, 1980년대에 대학을 다녔으며, 1960년대에 태어난 사람을 일컫는 말입니다. 그러나 세월이 흘러 이제 50~60을 넘긴 사람들 도 있을 것입니다. 386세대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혼란스러웠고, 가장 격렬했으며, 가장 자유롭지 못했던 때에 20대를 보낸 사람들입니다. 또한 군부독.. 2021. 4. 27.
바코드 13자리는 무슨 뜻일까 바코드 속의 13자리는 무엇을 뜻할까? 편의점이나 서점, 백화점, 편의점 등에서 유통되는 거의 모든 상품에는 바코드가 찍혀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바코드가 단순히 물건의 가격을 찍는 기능만 한다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바코드에는 어느 나라의 어느 회사에서 만든 무슨 물건인지에 대한 정보가 모두 담겨 있습니다. 바코드에는 13가지 숫자(30개의 줄무늬)로 된 표준형과 8가지 숫자(22개의 줄무늬)로 된 단축형이 있습니다. 어떤 사람은 혹시나 기계가 바코드를 잘못 읽어 엉뚱한 값을 치르게 될까 걱정하기도 하는데, 바코드에는 '체크 숫자'라는 안전장치가 있어서 기계가 숫자를 잘못 읽는 것을 막아 줍니다. 못 읽으면 못 읽었지 잘못 읽히는 경우는 거의 로또 확률입니다. 바코드는 흰색 바와 검은색 바로 구성되는데.. 2021. 4. 27.
모르면 무식해지는 축구에서의 해트트릭 뜻과 유래 혼자서 3 득점 올리는 것을 왜 해트트릭이라고 하는지 기본적인 상식으로 반드시 축구팬이라면 알아야 하는 지식입니다. 우리나라는 한일 월드컵 열기로 인해 축구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비약적으로 많아졌습니다. 기본적으로 남자들은 축구와 정치를 좋아한다고 하죠. 그런데 2002 물론 축구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잘 알고 있겠지만 그 유래까지는 잘 모를 겁니다. 해트트릭은 크리켓(cricket)에서 유래된 용어입니다. 크리켓은 영국의 국기(國技)로서 11명으로 이루어진 두 팀이 교대로 공격과 수비로 나뉘어 득점을 겨루는 게임입니다. 크리켓은 항상 시간이 남아도는 영국 신사들이 생각해낸 프로 야구의 기원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경기는 타자를 아웃 시키는 것이 매우 어려워서 정식으로 한 시합을 치르는 데 사흘.. 2021. 4. 27.
주휴수당의 뜻과 반드시 받아야 하는 이유와 방법 1주일 동안 규정된 근무일수를 모두 채운 근로자께 유급 주휴일이 근로기준법에 나와 있습니다. 즉 주 5일인 회사가 있다고 하면, 5일을 일하면, 일요일 하루는 일을 하지 않아도 하루치의 일당은 추가로 지급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월급 근로자는 주휴수당이 포함돼 있습니다. 그리고 시간제 근로자의 경우에는 1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만 하여도 주휴수당 지급이 됩니다. 1주일에 15시간 근무면, 주 5일이라고 했을때, 하루에 3시간씩만 일해도 주휴수당이 지급된다는 뜻입니다. 근로기준법 제55조에 있는 내용입니다. 이것이 주휴수당 입니다. 이것은 회사 사장이 팁으로 주는 게 아닙니다. 법적으로 보장된 것입니다. 즉 자신이 일한 거 자신이 받아가는 것이니 고마워할 필요가 없는 것입니다. 그걸 못주는 무능력한 사업.. 2021. 4. 27.
십장생에 관한 기본 상식과 간단한 의미를 쉽게 풀어서 설명하겠습니다 십장생 하면 보통 소나무, 거북이, 학 같은 장수하는 생물을 보통 떠올립니다. 예로부터 선조들은 건강하게 무병장수하며 오래 살고 싶은 욕망이 있어왔기에 십장생에 관한 동경과 경외심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거북이, 학, 소나무 이외에도 해와 산, 물, 돌, 달, 구름, 불로초, 대나무 같은 변하지 않고 오랫동안 그 자리에 있어 온 것들을 지칭하는 것입니다. 십장생이라고는 하지만 10가지가 넘기도 합니다. 후대의 사람들이 적당히 이거저거 갖다가 붙이다 보니 늘어나기도 한 것인데요, 인정하기 싫으신 분들도 계시겠지만 사실 우리는 중국의 문화를 수천 년간 많이 흡수하여 독자적인 문화를 개발한 것도 사실입니다. 중국의 신선 사상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이러한것들은 장수물로써 자연숭배의 대상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2021. 4. 26.
반응형